말의 무게, 말의 붕괴

이미지
인간을 이해하는 새로운 렌즈, 빅데이터 인간은 스스로 자신을 이해하려 애써왔다. 수천 년 전 철학자들은 ‘인간이란 무엇인가’를 묻기 시작했고, 심리학자들은 인간의 내면을 실험하고 해석했으며, 사회학자들은 제도와 문화 속의 인간을 분석했다. 그러나 인간은 늘 불확실하고 모순적이며 예측 불가능한 존재였다. 개별적 동기와 환경, 감정의 다양성이 인간 이해를 어렵게 만들었다. 그러나 이제 우리는 새로운 도구를 손에 쥐었다. 그것은 철학적 개념도, 실험도, 관찰도 아니다. 그것은 빅데이터다. 빅데이터는 말 그대로 ‘엄청난 양의 정보’다. 하루에도 수십억 건의 검색, 클릭, 구매, 이동, 대화, 심지어 망설임까지도 데이터로 저장된다. 개별 인간의 습관과 반응, 사회 전체의 흐름과 감정이 디지털 흔적 속에 남는다. 과거엔 "왜?"를 물었지만, 이제는 "무엇이 반복되는가?", "어떤 패턴이 존재하는가?"를 묻는다. 이성보다 패턴, 직관보다 상관관계를 중요시 하는 빅데이터는 인간을 ‘보는 방식’을 바꾸었다. 예를 들어보자. 한 도시에서 이혼율이 급증할 때, 전통적 관점은 ‘도덕 해이’나 ‘개인의 성향’을 의심할 것이다. 그러나 빅데이터는 그 도시에 밤 10시 이후 켜지는 배달앱 수가 급증하고, 주거 비용이 폭등하고, SNS상에서 불만이 특정 단어로 집중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혼의 도덕적 원인을 생활 패턴의 변화와 감정의 축적에서 읽어내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수치의 나열이 아니라, 행위의 지도다. 또 다른 예로, 인간이 언제 거짓말을 하는지를 알고 싶다면 굳이 거짓말탐지기를 붙일 필요도 없다. 수천만 개의 문자 메시지나 댓글, 고객 리뷰를 분석하면, 사람들이 어떤 상황에서, 어떤 단어 조합과 타이밍으로 진실을 비트는지를 통계적으로 알 수 있다. 정직성이라는 윤리의 문제를 데이터 속 패턴에서 찾아낸다. 물론 빅데이터는 전능하지 않다. 수집되지 않은 감정, 분석되지 못한 침묵, 숫자 너...

386의 밤, 흙수저의 새벽

이미지
☀ 이 이야기는 실제 인물과 무관합니다 ☀ ‘그’는 자신의 가게 길 건너 맞은편 분식집에서 혼자 김치찌개와 반주로 소주를 시켜 먹었다. 소주는 1병 반을 먹었고, 배가 고팠는지 김치찌개는 한 조각의 비개덩어리만 남긴 채 국물까지 거의 다 먹었다.  식사를 마친 그는 식당을 나와 술집들이 즐비한 이중섭 거리를 지나 서귀포 일호광장을 한 바퀴 돌아 집으로 갔다. 차는 주차할 곳이 마땅치 않아 세탁소 '올래'에 주차시켰다. 그는 차에서 내려 돌담을 향해 급하게 노상방뇨! 소변을 보며 담배를 피웠고, 몸을 두 번 떨며 바지를 올려서 위법행위를 끝내자 곧바로 세탁소 올래를 빠져 나왔다. 그러나 그는 곧장 집으로 들어가지 않고 세탁소와 큰 길 사이를 왔다갔다하며 한참이나 서성거렸다. 무슨 상념이 그토록 깊은 것일까! 그는 핸드폰을 꺼내 어디론가 전화를 하더니 이내 발걸음을 큰 길쪽으로 되돌렸다. 그는 맨발에 ‘쓰레빠’ 그리고 반바지와 반소매의 얇은티 하나만 걸치고 택시를 탔다. 초가을의 차가운 밤공기는 그의 피부 깊숙이 스며들었다. 그는 남문로터리에서 내렸다. 택시비는 ‘메다 요금’으로 1만 원이 나왔다. 5만원권 지폐 한 장으로 택시비를 계산하고, 택시운전사로부터 거스름돈 4만 원을 돌려받아 바지 주머니에 집어넣었다. 택시에서 내린 그는 언제나처럼 담배를 사려고 길을 건너 ‘강영희’패밀리마트로 들어갔다. 담배를 사고 있는 그를 여주인이 물끄러미 쳐다본다. 여주인은 일주일 째 하루도 빠짐없이 그 시간에 담배를 사고 있는 그의 정체가 의심스러운 듯 그가 밖으로 나갈 때까지 한시도 눈을 떼지 않고 있었다. 그는 패밀리마트 여주인의 눈초리를 애써 무시한 채 밖으로 나와 담배를 피우며 좁은 골목길을 돌아 중앙로 쪽으로 빠르게 걸어갔다. 초승달이 떠 있는 가을 밤하늘 아래 담배 연기는 밤거리의 차가운 공기 속으로 흩어졌다. 한 5분쯤 걸었을까. 그는 중앙성당 조금 못 미친 골목길 동쪽 모퉁이, 막걸리집 ‘장터’ 앞에서 발길을 멈췄다. 왜 그가 그토록 세탁...

냉장고 속 자동차 키: 기억의 틈과 노화의 시작

이미지
나의 '국민학교' 1) 여친이 자동차 키를 냉장고에서 냉동시킨 일이 있었다. 동네 마트에서 산 아이스크림을 자동차 키와 함께 비닐 봉투에 넣고, 집에 와서도 그 사실을 잊은 채 냉장고 속에서 한 달 동안 냉동시킨 일화逸話다. 그녀가 자동차 키를 아이스크림 비닐 봉투에 넣은 이유는, 금속 특유의 차갑고 단단한 촉감을 불쾌하게 여겨 그것을 해소하기 위해서 무심코 넣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 생각 없는 행동 때문에, 그녀는 자동차 키가 비닐 봉투 안에 있다는 것을 모른 채 자동차 키를 아이스크림으로 착각하여 냉장고에 넣어버린 것이다. 그녀는 무의식적으로 자동차 키를 아이스크림과 함께 비닐 봉투에 넣었다. 무의식적 행동은 운동, 연주, 정서 반응 등과 같이 주의 집중 없이 습관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딱히 기억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에 반해 그녀가 아이스크림을 사고 그것을 봉투 안에 자동차키와 함께 넣어 집으로 가져오는 행위는 ‘일화적(episodic) 사건’이다. 사건(경험)은 뇌에서 기억 2) 되고 나중에 필요할 때 인출하면서 최대의 효용값을 계산하여 우리를 합리적 행동으로 유도한다. 경험 기억이 인출되면, 냉장고 앞에서 자동차 키를 꺼내고, 아이스크림만 냉동실에 넣으며, 키를 잘 보관하여 자동차 운행에 지장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그녀는 냉장고 앞에서 비닐 봉투에 자동차 키가 있다는 것을 기억하지 못했고, 자동차 키를 한 달 동안 냉장고에서 냉동시켜 버린 결과를 초래했다. 요약하면, 그녀가 아이스크림을 냉동실에 넣기 전 비닐 봉투 안에 자동차 키가 있다는 것을 기억하지 못한 이유는 40대 이후 진행된 노화로 인해 잠시 ‘깜빡’하여 생각 없이(무의식적) 아이스크림과 함께 자동차 키를 비닐 봉투에 넣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 키는 귀중품이므로 잃어버리거나 놓아둔 곳을 잊어버리지 않도록 주의 집중해야 함에도 그러지 못한 것이다. 사람은 늙어가면서 특히 40대 이후로 ‘주의 집중’에 어려움을 겪는다. 물론 ...

22. 균형이 무너진 세계에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이미지
끝마치며 NASA Earth Observatory/Blue Marble Next Generation 이 글은 지구 온난화의 주요 원인과 그로 인한 영향을 분석하고 설명하고자 한 작은 시도였다. 비전문가로서 이 복잡하고 방대한 주제에 도전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지만, 지구온난화 때문에 겪는 변화들이 결코 남의 일이 아니며, 그 영향이 지금도 매일 내 일상에 미치고 있다는 '느낌'과 확신, 지구온난화를 바라보는 나의 물음, 그리고 그것을 이해하는 것만이 내 삶을 다시 성찰할 수 있고 미래를 얘기할 수 있다는 믿음이 이 글을 쓰게 된 동기였다. 비록 나는 나름의 최선을 다했으나 과학이라는 높고 단단한 벽 앞에 AI에게 물어본 들 내 머리는 죄없는 책상만 수십 번 들이박았을 뿐이다. 이해의 한계에 부딪힐 수밖에 없었고, 그래서 서술은 많이 부족했다. 관용의 미덕을 베풀기를. 그런만큼 이 글은 그 성격상 동료평가라는 과학검증의 절차를 거칠 수 없었고 따라서 학술적 용도로도 사용할 수 없음을 분명히 밝힌다. 어느 평범한 퇴직자가 그저 세상을 이해하고자, 황석영 작가가 어느 방송에 출연하여 말한 "박사 여덟을 합친 것보다 더 낫다”고 한 AI라는 문명의 이기를 활용한 과학 공부의 일환으로 쓴 글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은 AI가 제공한 지구 온난화 관련 자료 사이트의 내용을 참조하고 요약하여 나름의 관점으로 구조를 만들고 논리를 구성한 '요약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지구의 기후 시스템이 얼마나 복잡하게 얽혀 있으며, 작은 변화(예를 들어 해양의 '이온 간 농도 비율의 평형 변화)'도 전체 시스템에 큰 파급 효과를 미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먼저, 온실가스가 지구 대기 중에서 어떻게 온실효과를 일으켜 지구의 온도를 상승시키는지 살펴보았다. 이산화탄소(CO₂), 메탄(CH₄), 아산화질소(N₂O)와 같은 주요 온실가스들...

21. 인간 활동과 탄소 순환 시스템의 불균형

이미지
인간 활동(화석연료 연소, 산림 벌채, 농업 등)은 자연 탄소 순환 시스템의 균형을 무너뜨려 대기 중 CO₂ 농도를 급격히 증가시켰고, 기후 변화와 지구 시스템의 불균형을 초래하고 있다. 자연적 탄소 흡수원(토양, 산림, 해양)은 인간 배출량을 감당하지 못하고 있으며, 지질학적 탄소 고정 메커니즘은 우리가 바라는 기후 변화 속도를 따라잡기에는 너무 느리다. >탄소 포집 및 저장(CCS)은 CO₂를 대기로 방출하기 전에 포집해 지하에 저장하는 기술로, 탄소 중립과 기후 변화 완화의 핵심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제7장 인간활동과 탄소 순환 시스템의 불균형 인간 활동은 지난 수세기 동안 지구의 탄소 순환 시스템에 큰 변화를 초래했으며, 이로 인해 탄소 순환 시스템의 불균형이 발생하고 있다. 산업화 이후 화석 연료의 연소, 산림 벌채, 농업 활동의 증가 등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CO₂) 농도를 급격히 증가시켰으며, 이는 지구 기후 시스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자연적인 탄소 순환은 대기, 해양, 육상 생태계, 지질권 간에 균형을 유지하며 작동했으나, 인간 활동으로 인해 대기 중 탄소의 양이 과도하게 축적되면서 이 균형이 깨지고 있다. 화석 연료의 연소 인간 활동이 탄소 순환에 미치는 가장 큰 영향 중 하나는 화석 연료의 연소로 인한 탄소 배출이다. 석탄, 석유, 천연가스와 같은 화석 연료는 수백만 년 동안 지각에 저장된 탄소의 저장소로, 인간이 이를 대량으로 연소하면서 대기 중으로 막대한 양의 CO₂가 방출되고 있다. 산업화 이전에는 대기 중 CO₂ 농도가 약 280ppm이었으나, 현재 이 농도는 420ppm을 넘어섰다. 이로 인해 산업화 이전 대비 2023년 기준 지구 기온이 약 1.45°C 상승했으며, 기후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화석 연료 연소는 대기 중 CO₂ 농도를 급격히 증가시켰고, 자연적인 탄소 순환 시스템이 이를 처리할 수...

20. 지질학적 탄소 순환: 깊은 시간의 탄소 저장소

이미지
지질학적 탄소 고정은 이산화탄소(CO₂)가 암석화, 풍화, 침전, 생물작용 등을 통해 수백만 년 동안 지구 시스템에 저장되는 과정을 말한다. 해양에서는 CO₂가 탄산칼슘(CaCO₃)으로 침전·퇴적되어 석회암 등으로 암석화되며, 육지에서는 규산염 광물과 화학적 풍화를 통해 CO₂가 탄산염 광물로 고정된다. 화학적·물리적·생물학적 풍화는 암석의 표면을 확장시키고 CO₂와 반응할 수 있게 하여 탄소의 장기적 격리가 가능하여 기후 안정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매우 느리기 때문에 현대의 급격한 CO₂ 증가를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지질학적 탄소 순환 (지질학적 탄소 고정) 이 그림은 지질학적으로 수백만 년에 걸쳐 작동하는 '장기 탄소 순환(long-term carbon cycle)'을 이상화하여 간단하게 표현한 것이다. 중심 개념은 지구 표면 시스템(대기, 해양, 생물권, 토양)과 암석권 사이에서 탄소가 어떻게 교환되고, 저장되고, 다시 방출되는지를 설명한다. 이 순환은 단기적인 탄소 흐름과는 달리, 지구의 기후와 대기 조성을 장기적으로 조절하는 핵심 메커니즘이다. GSA Today ( Berner, R. A. (1999). 장기 탄소 순환에 대한 새로운 시각(A New Look at the Long-term Carbon Cycle). GSA Today, 제9권 11호, 1–6쪽.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 먼저, 그림의 왼쪽에서는 지표면에 노출된 규산염 암석(Ca-Mg silicates)이 빗물에 의해 풍화된다. 이 과정에서 대기 중 이산화탄소(CO₂)는 물과 반응하여 중탄산염(HCO₃⁻) 형태로 용해된다. 이 HCO₃⁻는 강을 통해 바다로 운반된다. 이 과정은 지질학적으로 중요한데, 이는 대기 중의 CO₂를 제거하고 바다로 전달해 지구를 냉각시키는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유입된 탄소는 해양 생물의 생물학적 작용에 의해 탄산염(CaCO₃)이 석...

19. 해양·화학 메커니즘 ②: 바다에서 탄소는 어떻게 변하는가

이미지
해양은 대기 중 CO₂를 흡수해 중탄산 이온(HCO₃⁻)과 탄산 이온(CO₃²⁻)으로 전환하고, 이 탄산 이온은 해수 내 칼슘(Ca²⁺)·마그네슘(Mg²⁺)과 결합해 석회화 생물의 껍데기와 골격을 구성하는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광물(CaCO₃, MgCO₃)을 생성하며 탄소를 오래도록 고정한다. 하지만 산업화 이후 CO₂ 과잉 흡수로 수소 이온(H⁺)이 증가해 해양 pH는 낮아지고, 탄산염 이온 농도는 감소하고 중탄산염 이온 비율은 증가하여 이온 간 농도 비율이 불균형해졌다. 이온 간 농도불균형 변화는 해양 산성화, 석회화 생물의 생존 위협, 탄소 고정 능력 약화로 이어져 해양 탄소 순환 시스템의 안정성을 위협하고 있다. 해양·화학적 메커니즘 ② 이 이미지는 해양 산성화(Ocean Acidification)현상을 시각적으로 설명한 과학 인포그래픽이다. 상단 붉은색 화살표들은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CO₂)가 바다로 흡수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CO₂는 인간 활동(화석연료 연소 등)으로 인해 대기 중 농도가 증가했다. CO₂의 약 25~30%가 바다로 흡수되면서 해수의 화학 조성이 변하게 된다. 즉, 산성화의 원인이 된다. 중앙에는 해양 산성화의 핵심 화학 반응이 표시되어 있다. CO₂ + H₂O + CO₃²⁻--> HCO₃⁻일반적으로 CO₂는 바닷물과 반응해 탄산(H₂CO₃)을 형성하고, 이는 중탄산이온(HCO₃⁻), 나아가 탄산이온(CO₃²⁻)으로 단계적으로 해리된다. 그러나 CO₂가 과도하게 증가하면, 기존의 탄산이온(CO₃²⁻)이 오히려 CO₂ 및 H₂O와 반응해 중탄산이온(HCO₃⁻)으로 되돌아가는 반응( CO₂ + H₂O + CO₃²⁻ → 2HCO₃⁻ )이 발생하여,탄산이온의 농도는 감소한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점은 탄산이온이 줄어들면 조개, 산호, 해양 플랑크톤 등 석회화 생물의 껍데기 형성이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이미지 좌측의 녹색 원은 건강한 석회화 생물(예: 유공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