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적 시선으로 본 익은 감의 유혹
늦가을, 붉게 물든 감나무를 보았는가? 혹시, 당신을 유혹하던가? 그 감나무 밑으로 가고 싶지 않았는가? 아니라면 거짓말이다. 익은 감은 인간을 유혹하고, 인간이라면 그 매혹적인 색의 유혹에 자신의 탐식 욕망을 드러낼 수밖에 없다. 우리가 가을의 감나무 아래 멈춰 서는 이유는 미학이 아니라 본능이다. 감이 익어간다는 것은 단순한 계절의 변화가 아니다. 붉은 껍질, 부드럽고 물컹한 속살, 달콤한 맛,이 모든 것은 감나무가 생존을 위해 구사하는 고도의 언어다. 감나무가 스스로 자신의 유전자를 다음 세대에 전달하기 위한 정교한 번식 전략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감이 익어가며 붉어지는 이유는 새와 포유류의 시각을 자극해 열매를 눈에 띄게 하기 위해서다. 동시에 전분이 당으로 바뀌고, 떫은맛이 분해된다. 그 결과 당도는 높아지고 맛은 짙어진다. 사진처럼 인간이 감을 먹고 싶어지는 순간이다. 그리고 감나무에게는 씨앗을 퍼뜨릴 최적의 시점이다. 감나무는 말없이 외친다. “내 익은 감을 먹고 그 속의 씨앗을 멀리 데려가라.” 30억 년, 생명 진화의 광대한 서사에서, 식물은 결코 수동적인 배경이 아니다. 오히려 이들은 자신의 유전적 영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동물의 욕망을 능동적으로 설계하고 조종하는, 정교한 전략가이다. 인간이 오랜 세월 익은 감을 탐닉해온 이유는, 이 거대한 생태학적 역학 관계를 증명하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감나무의 선제적 유혹 감나무가 가을에 붉고 달콤한 열매를 맺는 행위는, 인간에게 비타민을 공급하기 위한 이타적 봉사가 아니다. 그것은 자신의 번식을 위한 치밀한 진화적 설계이다. 감나무는 이동할 수 없는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풍부한 당분과 비타민을 인간에게 보상하기 위해 열매에 농축시킨다. 이 영양가는 새와 우리 인간 같은 포유류를 유혹하는 강력한 신호로 작용한다. 그들이 유혹에 응하여 감을 먹을 때, 그들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 감나무의 번식 파트너가 된다. 그 사이...